CA
ON
추천업소
추천업소 선택:
추천업소 그룹 리스트
  • 식품ㆍ음식점ㆍ쇼핑1
  • 부동산ㆍ건축ㆍ생활2
  • 미용ㆍ건강ㆍ의료3
  • 자동차ㆍ수리ㆍ운송4
  • 관광ㆍ하숙ㆍ스포츠5
  • 이민ㆍ유학ㆍ학교6
  • 금융ㆍ보험ㆍ모기지7
  • 컴퓨터ㆍ인터넷ㆍ전화8
  • 오락ㆍ유흥ㆍPC방9
  • 법률ㆍ회계ㆍ번역10
  • 꽃ㆍ결혼ㆍ사진11
  • 예술ㆍ광고ㆍ인쇄12
  • 도매ㆍ무역ㆍ장비13
  • 종교ㆍ언론ㆍ단체14
블로그 ( 오늘 방문자 수: 188 전체: 523,785 )
선애치환(先愛治患)
namsukpark

 

대통령실은 “증원 못 미뤄, 설득할 문제”라는데… 의대 교수들마저 결국 가운을 벗는다. 정부의 ‘의대 증원 2000명’에 반발해 전국 의대 교수들이 사직서 제출을 결정했다. 대통령실은 물론이고 국무총리, 관계부처까지 수차례에 걸쳐 반발하는 의료계를 향해 설득, 당부, 경고 등 여러 메시지를 쏟아낸 시도에도 의대 교수들이 끝내 가운을 벗기로 하면서 국민 생명권을 놓고 양측 간 대치가 지속될 전망이다.

 

의료계는 “환자들을 버리는 게 아니다”라면서 “현재와 같은 상황이 지속되면 국민 건강에 돌이킬 수 없는 피해가 발생할 것”이라며 의대 증원 규모 조정을 제의하고 있지만, 대통령실은 조정 가능성을 일축하고 있다. 앞으로 발생하게 될 의사 부족을 고려하면 2000명이라는 수치는 오히려 부족하다는 판단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의료개혁은 원칙대로 신속하게 추진하라”며 “응급환자 및 중증환자에 대해 빈틈없는 비상 대응을 하라”고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주문하며 “의료법을 위반해 진료현장을 이탈하는 집단행동은 교수도 예외가 될 수 없다”는 대통령실 발표다.

 

“의대교수들이 중재자로서 역할을 강조하고 있지만, 정부가 ‘먼저’ 2천명 의대 증원을 포기할 것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사실상의 ‘집단행동’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집단사직을 결의한 배경에는 처벌을 앞둔 제자들에 대한 안타까움과 전공의가 사라진 의료현장의 힘든 상황도 있지만, ‘의대 증원’ 자체에 대한 교수들의 강한 반대가 결정적 요인으로 자리한 것으로 보인다”는 뉴스타이틀이 큼지막하다.

 

“여러분의 협조 덕분에 중증·응급환자 중심으로 비상진료 체계가 유지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집단행동 장기화에 따라 현장을 지키는 의료진들의 피로도 높아져 가고 있습니다. 정부는 의료현장을 면밀히 살펴 의료진의 어려움을 최소화하고 환자진료에 매진할 수 있도록 가용 자원을 총동원하여 지원하겠습니다”는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의 애끓는 호소가 공허한 메아리처럼 들리지 않았으면 오죽이겠다.

 

국민의 생명과 안전에 심각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전공의 집단 사직으로 진료가 거의 불가능한 상황까지 우려되는 가운데 교수들의 집단 사직 예고는 병원을 그만두겠다는 의지보단 정부의 입장 변화를 촉구하는 선언적 의미에 무게를 둔 것으로 풀이된다고 하지만, 전공의 이탈로 과중한 업무를 떠맡은 교수들이 버텨내지 못하고 떠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우려가 나온다. 의료선진화로 유일하게 세계가 부러워마지 않던 시스템과 신뢰가 무너져가는 것만 같아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객관적이고 균형적으로 지켜볼 수 있어야 마땅할 “우리들 스스로가 성찰할 기회는 과거로부터 교훈을 얻어 현재를 발전시켜야만 미래를 열어갈 수 있겠지만, 요즈음의 상황은 저마다의 바람과는 너무 다르게 무분별하게 펼쳐지는 가운데 기댈만한 곳을 잃은 환우와 염려가 인구에 회자되고 있다. 일반시민들의 불안과 의료 공백이 심각해지고 진료체계는 차질이 우려되는 상황을 그저 바라보며 처분을 기다리기만 할 일은 아닌 줄로 안다.

 

나이가 들면 삶의 질을 급격히 떨어뜨리는 몹쓸 질병과 뜻하지 않는 사건과 부상이 두렵게 마련이지만, 일상생활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두려움’은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는다. 허준 선생은 동의보감에서 “마음이 어지러우니 병이 생겨나고, 마음이 안정되니 절로 낫게 되니 최고의 의생(醫生)은 결국 마음이다(心亂卽病生이요 心定卽自癒이니 心醫로다)”고 했다. 쓸모없는 억측은 자제하고 너나없이 건강을 지켜내기 위해 보다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하겠다.

 

하긴, 세상인심이 뒤숭숭해서일까마는 ‘참봉노릇도 벼슬이냐며 본인이 싫다 하면 어이하는 수 없다’던 옛말도 귓전이 따갑도록 얻어듣던 우리들이다. 대형 병원 복도 벽에 걸린 크나큰 액자에 쓰인 ‘선애치환(先愛治患)’의 말뜻이 ‘먼저 사랑하는 마음을 가지고 환자를 치료한다’는 사려 깊은 뜻으로 이해한다. 뉴스사진으로 게재한 언론사의 의중이 짐짓 무언지 꿰뚫고 탐독하는 독자들도 적지 않은 줄 안다. 전공의와 의료진들의 고충과 애로, 국민을 위한 수고를 전혀 모르는바 아니다. ‘선애치환’의 문구처럼 국민을 진정으로, 어려운 환경에서도, 국민을 먼저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으로 환자를 돌보아 주셨으면 하는 마음이다.

 

 

“집 떠나가 배운 노래를

집 찾아오는 밤

논둑길에서 불렀노라. /

나가서도 고달프고

돌아와서도 고달팠노라.

 

열네 살부터 나가서 고달팠노라. /

 

나가서 얻어 온 이야기를

 

닭이 울도록

 

아버지께 이르노니 /

 

기름불도 깜박이며 듣고,

 

어머니는 눈물로 고이신 대로 듣고

 

니치대든 어린 누이 안긴 대로 잠들며 듣고,

 

윗방 문설주에는 그 사람이 서서 듣고, /

 

큰 독안에 실린 슬픈 물같이

 

속살대는 이 시골 밤은

 

찾아온 동네사람들처럼 돌아서서 듣고 /

 

그러나 이것은 모두 다

 

그 예전부터 어떤 시원찮은 사람들이

 

끝맺지 못하고 그대로 간 이야기어니 /

 

이 집 문고리나, 지붕이나,

 

늙으신 아버지의 착하디착한 수염이나,

 

활처럼 휘어다 붙인 밤하늘이나, /

 

이것이 모두 다

 

그 예전부터 전하는 이야기 구절일러라.”

 

[정지용(鄭芝溶)/ <옛이야기 구절(句節)> 신민(新民)#21호 1927·1]

 

 

<저작권자(c) Budongsancanada.com 부동산캐나다 한인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