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soonja
한순자

경기도 여주 출생, 건국대 국어국문학과 졸업, 경기도 광수중학교 근무, 1992년 캐나다 이민, 캐나다문인협회 수필 부문 입상, 2006년 해외동포문학상, 작품집 <인생에 실패는 없다 다만 또 다른 삶이 있을 뿐이다>, <나이만큼 행복한 여자>, <밀리언 달러 티켓 나도 한장>,<행복이라는 이름의 여행> 외 다수
블로그 ( 오늘 방문자 수: 26 전체: 88,226 )
새로운 것이 더 좋아(2)
hansoonja

 

 

 (지난 호에 이어)
지금 사는 집에서 조금만 보태면 살던 집은 전세를 주고, 다시 방 몇 개를 전세를 주면, 어디쯤으로 갈 수 있을까 그런 생각이 미치다 보면 끝을 봐야 조금 마음 적으로 쉬게 된다. 그렇게 해서 살던 집이 공릉동 집이었다. 


 먼저 살던 집을 전세를 주고 공릉동에 2층 방 4개와 아래층 방 하나를 세를 주고, 우리가 안채 방 3개를 쓰면서 사는 지 몇 년 지나면서 다시 또 스멀스멀 싫증이 나던 즈음에 강북에서 강남으로 학군 따라 가는 것이 유행처럼 번지기 시작했다. 


 친구 따라 강남 간다지만 아무리 가고 싶어도 형편이 따라와 주지 않으면 어찌 갈 수가 있더란 말인가. 그 당시 친구들이 한두 명 강남으로 이사를 가기도 했으니 내 머릿속은 또 강남으로의 꿈을 꾸기 시작했다. 


 그런데 문제는 남편이 끄떡도 않고 있어 매일매일 먹어도 소화도 안 되고 머리만 지끈지끈 아팠다. 그때 주택청약예금 통장 400만 원짜리 하나를 갖고 있긴 했지만 그것은 차치하고라도 살고 있는 집을 전세를 주고 조금만 보태면 강남의 아파트로 이사를 갈 수 있겠다 싶은데, 남편이 강남엔 다 부자만 사는 줄 알고 지레 겁을 먹는지 강북 쪽으로, 그 주변의 아파트만 들먹이는 거였다.


 난 강북의 다른 곳으로 가면 안 갈 것이니 혼자 가려면 가보라고 엄포를 놓기도 하였다. 그때는 일구월심 강남으로 이사를 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꽉 차 있었으니 다른 생각 다른 것은 눈에 들어오지 않았다. 


 우리가 결혼을 하고 언제부터인지 대학 친구 세 집이 해마다 피서여행을 같이 다니게 되었다. 그 해 여름에도 훈이네, 형이네와 단양 상선암으로 피서를 갔다.  저녁을 먹고 난 후 아이들은 잠자리에 들고 우리 어른들은 평상에 앉아 이런 저런 얘기 끝에 내 잔뜩 꼬인 심사를 얘기하게 되었다.


 그랬더니 대뜸 훈이 엄마가, "혜민 아빠, 지금 무슨 소리 하고 있느냐?"며 우리보고 강남에 먼저 가서 자리를 잡으라며 자기네도 강남으로 이사를 가려고 아파트를 내놓았는데 팔리지 않아 못 간다고 하는 것이었다. 난 그때서야 체증이 조금 뚫리는 듯 마치도 천군만마라도 만난 듯 반갑기 이를 데 없었다. 


 피서를 다녀온 지 며칠 지나 "집 보러 가자"하는 것이었다. 난 어디로 몇 평쯤으로 갈 수 있느냐 물을 필요도 없었다. 마음 변하기 전에 몰아붙여 빨리빨리 끝내야 하는 판이었다. 


 나는 그날 강남의 아파트 몇 군데를 보고 오면서 차에서 먹은 것이 다 올라올 지경이었다. 머리가 지끈지끈 아프고 속이 메슥메슥하니 토할 것처럼 식은땀까지 났다. 이는 몇 달 동안을 속으로 삭이며 참느라고 가슴 속 밑바닥까지 쌓였던 것들이 일시에 올라왔기 때문이었다. 


 늘 지나 놓고 보면 그때 그렇게 하지 말았어야 했어, 아니면 그때 그렇게 하기를 너무 잘했던 거야 하는 생각을 갖게 됨은, 그 일을 결정하고 난 후에 벌어지게 되는 결과를 놓고 깨닫게 됨은 당연한 얘기가 된다. 


그때 우리의 강남 행은 너무도 잘한 것이었다. 하지만 공릉동 집은 전세를 주었으니 상관없다 해도 그 전에 살던 묵동 집이 마침 팔려 그 돈으로 강남의 아파트 하나를 더 살 수가 있었는데, 일 가구 일 주택만을 주장하다 보니 묵동 집을 팔아서 채권을 사는 바람에 돌이켜 보면 큰 실수를 한 셈이었다. 


 내가 이처럼 부동산에 관해 비교적 소상하게 밝혀봄은 한국의 경제성장과 함께 부동산의 성장 과정도 내 경우를 빌어 한 번 되돌아보고 싶기 때문이다. 언젠가 신문 기사 중에 레슬링 선수 김일이 무슨 병으로 병원에서 투병 중이며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기사를 읽었다. 그것은 김일 선수가 재산관리를 잘하지 못했다는 의견까지 언급을 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아닌 게 아니라 80년대를 전후해서 아니, 더 정확하게 얘기하면 돈이라는 것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게 된다. 그 하나가 동산이요, 두 번째가 부동산이 되는 것이니 돈을 벌어 금방 쓸 수 있는 현찰로 가지고 있느냐, 아니면 땅에 묻어 두느냐, 아니면 금붙이, 즉 패물로 사 두느냐는 각자의 재산관리 범주에 속하게 된다. 


그 관리를 적절하게 활용을 잘 하는 사람은 경제적으로 여유를 갖게 될 것이요, 그런 관리능력도 갖지 못한 사람은 같은 돈을 번다 해도 관리를 잘 하는 사람에 비해서 뒤지게 됨은 말해서 무엇 할 것인가. 


 내가 부동산에 대해서 눈을 뜨게 됨은 어린 시절 아버지가 돈이 되면 논이나 밭을 사시던 기억이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서울로 유학을 오게 되면서 아버지가 왕십리에 집을 사게 되었다. 그때 친구 분인 삼거리 아저씨와 상의 하셨던 결과 아이들이 공부하기에는 길가 주변보다는 조용한 주택가가 낫겠다고 결정을 하시어 주택가 안쪽으로 새로 지은 한옥을 사게 되었다. (다음 호에 계속)

 

 

<저작권자(c) Budongsancanada.com 부동산캐나다 한인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