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wlee
경제 및 시사문예 종합지 <한인뉴스 부동산캐나다>를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 더욱 품격 있는 언론사로 발전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블로그 ( 오늘 방문자 수: 303 전체: 652,509 )
전원일기-누구나 한번쯤 그려보는 꿈
ywlee

 

 

 

 

 드라마 <전원일기>는 MBC에서 1980년 10월 21일 시작해 2002년 12월 29일까지 장장 22년간 방영된 농촌극이다. 총 1,088회에 걸쳐 방영되면서 한국 드라마 사상 최장수 인기 프로그램 중 하나로 기록됐다. 


 제1화 〈박수칠 때 떠나라〉라는 부제목으로 첫 방송을 시작했는데, 농촌을 떠나 도시로 나간 사람들에게 농촌에 대한 실상과 그리움을 드라마 형식으로 표현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이 드라마는 각박한 도회지 삶에 지친 사람들에게 농촌생활에 대한 꿈과 동경을 갖도록 이끌어내기도 했다. 


 나는 젊은 시절 고향(충청도 대전)을 떠나 서울에서 생활하면서 가끔 이 드라마를 보면 시골의 옛추억이 떠올라 향수에 젖곤 했다. 지금도 구수한 목소리의 ‘김 회장 부부’(최불암, 김혜자)와 ‘일용 엄니’(김수미)가 시원한 마당에 펴놓은 평상에 앉아 야채를 다듬으며 도란도란 대화를 나누는 장면이 떠오르는 듯하다.       


 사노라면 가끔은 <전원일기> 드라마처럼 그림같은 전원에 묻혀 세상사 시름 잊고 흙과 더불어 살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을 때가 있다. 이래서 예로부터 귀향(歸鄕)과 귀농(歸農)을 예찬하는 노래도 많이 나왔다. "가련다 떠나련다 어린 아들 손을 잡고/감자 심고 수수 심는 두메산골 내 고향에/못 살아도 나는 좋아 외로워도 나는 좋아/눈물 어린 보따리에 황혼빛이 젖어드네”


0…요즘 한국의 방송과 신문 등을 보면 귀농한 사람들 이야기가 무척 많고 스토리도 다양하다. 그만큼 전원생활을 꿈꾸는 사람이 많다는 이야기다. 특히 전에는 은퇴한 사람들이 주로 고향을 찾아 돌아간 사례가 많았으나 지금은 젊은이들 중에도 그런 사람이 많은게 특징이다. 비전 없는 도시의 직장생활을 일찌감치 접고 부모형제가 있는 농촌으로 돌아가 정신적으로 여유있는 삶을 살면서 한편으로 농사로 성공해보려는 젊은이들의 도전이 잇따르고 있다.       


 최근 토론토의 동포 일간지에는 심코 호숫가 전원에 터를 잡은 어느 한인부부 가족을 소개하는 기사가 나왔다. 오랜 공무원(우체국) 생활 후 은퇴를 하자 전원에 널찍한 농장을 마련해 직접 집을 짓고 사는 이들은 텃밭에 싱싱한 채소를 가꾸고 가마솥에 장작불로 밥을 짓는 등 유유자적한 삶을 살고 있다. 입소문을 듣고 농장을 방문하는 사람들에게는 공짜나 다름없는 실비(實費)만 받고  맛있는 식사도 제공한다.   


 이 기사가 나가고 나자 사방에서 한인 방문자들이 줄을 잇기 시작했는데, 이제는 방문객이나 문의가 너무 많아 오히려 귀찮을 정도라고 한다. 이것만 보아도 사람들이 평소에 얼마나 자연을 그리며 전원생활을 꿈꾸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이 분들 말고도 토론토 외곽에는 전원이나 농장생활을 하는 한인동포들이 꽤 있다. 80이 넘은 연세에도 배리 농장에서 왕성하게 농사일을 하고 계신 박충도 선생을 비롯해, 오렌지빌의 허규상 선생, 밀턴의 이도훈 씨, 인근 액턴의 임준기 씨 등 내가 아는 분만 해도 여럿 있다. 나는 농사의 농(農)자도 모르지만 전원에 대한 꿈과 동경이 있어 종종 친지 분의 농장을 방문하곤 한다. 


0…누구나 한번쯤 꿈꾸는 전원생활. 그러나 현실은 녹록지만은 않을 터이다. 농사를 쉽게 생각하고 덤볐다가는 큰코 다치기 십상이다. 계절에 맞게 파종하고 거름 주고 제초작업 하려면 보통 부지런해서는 안 된다. 작물을 수확하는 것도 그렇지만 내다 파는 것도 결코 쉽지 않다. 매스컴에선 귀농 스토리가 많이 나오지만 대부분은 생각보다 쉽지 않은 사례들을 많이 소개한다.    


 막연한 동경 속의 전원생활, 그러나 실제론 어느 정도의 재능도 필요하다. 농기구를 다루고 집도 스스로 고치려면 손재주가 좋아야 하고 성격도 차분해야 한다. 외진 농장에서 벌어지는 이런저런 일상의 불편함도 감수해야 한다. 내가 수시로 전원 타령을 하면 아내는 옆에서 “손재주도 없는 사람이 무슨 꿈같은 소리를 하세요?” 하며 힐난한다.

   
 ‘남(南)으로 창(窓)을 내겠소. 밭이 한참갈이, 괭이로 파고 호미론 풀을 매지요. 구름이 꼬인다 갈 리 있소. 새 노래는 공으로 들으랴오. 강냉이가 익걸랑 함께 와 자셔도 좋소. 왜 사냐건 웃지요’-(월파(月坡) 김상용). 이런 생활만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집 앞엔 한줄기 실개천이 흐르고 야산엔 이름 모름 야생화와 들풀이 지천이며 널따란 텃밭엔 온갖 싱싱한 야채가 무럭무럭 자란다. 속세(俗世)에서 벗어나 이런 낙원에서 살고픈 마음은 굴뚝 같으나 현실이 따라주질 않는다. 


 그래서 나는 가끔 이런 생각을 해본다. 혼자서 결행하기 어려우면 뜻맞는 사람들이 모여 함께 살면 어떨까 하는… 실제로 한국에서는 조기 은퇴자들이 전원에 함께 살면서 농사도 짓고 자녀들 등.하교도 나누어서 하는 등 멋진 공동체 생활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 


0…많은 사람들의 꿈인 귀농, 귀촌(歸村). 번잡한 도시에 비해 싸고 여유있는 전원집, 자연과 더불어 욕심없이 살아갈 수 있는 환경. 열심히 땀을 흘리면 그만한 보상도 나오지 않을까. 몸은 고되어도 마음이 편하다면 그 길을 택하고 싶은 생각이 크다. 그래서 나는 시간만 나면 그런 집을 들여다본다. 

 


“돌아가련다. 전원이 바로 거칠어지려는데 아니 돌아갈소냐(歸去來兮 田園將蕪 胡不歸)"-도연명의 <귀거래사>(歸去來辭)             (사장)


 

   

 

 

 

<저작권자(c) Budongsancanada.com 부동산캐나다 한인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