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anghyunsoo
마인즈프로덕션 대표
블로그 ( 오늘 방문자 수: 77 전체: 273,190 )
빨간불을 무시하는 부자
Hwanghyunsoo

교차로 신호등 앞에 대기해 있을 때, 파란불이 켜지기 전에 튀어 나가거나 빨간불을 무시하고 달리는 차를 가끔 본 적이 있는데, 주로 고급차였지 싶다. 아마 부자들의 이기심 때문일 거라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나의 생각에 ‘옳소!’ 하며 편을 들어준 연구 결과가 나왔다. 버클리대 심리학과 대커 켈트너(Dacher Keltner) 교수가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차의 가격이 높을수록 교통 법규를 어길 확률이 높다는 연구 결과이다.


그는 보행자가 있으면 멈춰야 하고, 보행자가 없으면 그냥 지나칠 수 있는 보행자 우선 구역에서 차들이 얼마나 정지선을 잘 지키는지, 어떤 차들이 보행자를 기다리지 않고 교차로를 지나가는지를 확인했다.


저가 차량의 운전자들은 100% 멈춰 섰고, 고급 차량의 운전자들은 45%가 넘는 확률로 보행자 우선 구역을 지나쳤다고 말한다. 자동차 가격과 교통법을 지키는 것의 상관 관계를 발견한 그는 부와 특권을 가진 사람일수록 규정과 법률을 어길 가능성이 높고 부유할수록 공감 능력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이 조사는 지난 3월 30일에 방송된 EBS 다큐프라임 <뇌로 보는 인간 1부/돈>에서 공개됐다.


요즘 밥 먹고 아내와 동네 한바퀴 걷는 것이 오후 일과다. 여기저기 걷는 사람이 많아진 것을 보니 모두들 집에만 있기가 답답한 것 같다. 아내와 가까이 걸으면 저만치 경계를 하며 이내 길을 틀어가는 이도 많은데, 눈치를 보며 대화를 나눈다.


“여보, <코로나 19> 사태가 마무리된 이후는 어떻게 될까?”, 아내는 “그걸 당신이 왜? 걱정해”하는 표정을 하면서도 “앞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어려운 사람들의 돈 문제야” 한다. 며칠 전 본 다큐프라임<돈>에서 그 미래를 어렴풋이 상상할 수 있었다.


다큐의 테마는 자연스레 ‘부의 불평등’에 맞춰진다. 여러 조사를 통해 사람들이 돈을 식욕이나 성욕처럼 생존에 필요한 걸로 취급하기 때문에 무조건 모은다는 것이다. 그만큼 사람들은 돈 앞에 절박하고, 돈을 향해 위험을 무릅쓰고 내달린다.


돈은 그 자체로 나쁜 게 아니다. 오히려 우리가 살아가는 데 있어 필수적이기까지 하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이 없으면 곧 죽음이다. 그런데 과연 인간의 '뇌'는 돈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을까?


이 프로그램의 진행자인 뇌 과학자 정재승 교수는 "자본주의 시대, 우리의 뇌에 돈이 차지하는 공간은 점점 커지지만, 뇌는 돈을 다루는 데 허술하고 엉성합니다. 하지만 우리 뇌는 자본주의가 만든 불평등을 본능적으로 역겨워하고 혐오합니다. 우리 인간은 돈에 대한 탐욕만이 아니라 공정한 나눔의 미덕도 가지고 있습니다" 라고 한다.


그렇게 모든 사람들이 돈을 향해 달려가는데, 모두가 돈을 잘 벌지는 못한다. 돈을 향해 거침없이 달리는 앞선 자들을 ‘부자’라 한다. 그 중에서도 더욱 우세한 자들이 이른바 '슈퍼 리치(Super Rich)‘이다.


어떤 사람이 슈퍼리치일까? 매경이코노미의 박수호 기자에 따르면 “현금성 자산 100억 이상, 당장 10억 정도는 유동 자금으로 가지고 있고, 롤스로이스 정도의 차에 한 달 밥값으로 1400만 원 정도는 쓸 수 있는 여유를 가진 사람들”이라고 한다.


돈이 많은 게 무슨 문제가 되지? 하겠지만 문제는 슈퍼 리치들은 공감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가진 자들 주위에는 ‘예스맨’이 많아 사람들을 동등하게 만나기 보다는 위에서 내려다 보는 생활에 익숙하고, 좋아하는 얘기만 듣다 보니 공감 대신 자기 합리화하는 경우가 많다. 이른바 우리 사회의 ‘CEO 갑질’ 사건을 만드는 원인이다.

▲세계 0.9%의 부자가 43%의 돈을 가지고 있다. ‘부의 불평등’은 이제 어느 한 국가의 문제가 아니다. 부자들의 재산이 점점 늘어나는 현상이 계속될 수밖에 없다.


남을 이해하지 못하는 부자, 거기에 이기주의까지 겹치면 위험하다. 세계 0.9%의 부자가 43%의 돈을 가지고 있다는 통계를 보여준다. 부의 불평등은 이제 어느 한 국가의 문제가 아니다. 일반인들이 노동해서 버는 것보다 부자들의 자본과 배당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결국 이런 현상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고 밝힌다. 다큐는 2년전부터 기획된 것이라, <코로라 19>에 대해서는 한 장면도 나오지 않지만, 화면을 따라가다 보면 ‘문제는 빨간불을 무시하는 부자’라는 힌트를 얻을 수 있다.


흔히들 바이러스는 공평하다고 하지만, 돈이 있는 사람은 안전한 격리를 할 수 있고 재택 근무가 가능하고 가난한 노동자들은 감염 위험에도 출근해야 한다. 뉴욕타임즈(NYT)는 “계층 격차를 심화시키고 있다. 일종의 <코로나 19 카스트 제도>가 만들어졌다”고 보도했다.


이제까지 느끼지 못했던 부의 불평등이 표출될 것이라는 것이다. 바이러스 감염은 각자의 경제적 여건에 따라 달라지기 마련이다.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는 사람들은 안전한 격리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혹시 감염이 된다고 해도 부담없이 치료에 전념할 수 있다.


그러나 당장의 생계가 걸려 있는 사람들은 상황이 다르다. 당장 먹고 살길이 어려운 사람들에게는 감염보다 돈 버는 일이 더 중요하기에 감염의 위험 속에 일 할 수밖에 없다.
 

▲드론을 띄워 높은 상공에서 내려다보기 전까진 부자와 가난한 자의 격차를 알 수 없다.


결국 부의 불평등은 극단적인 상황 속에서 훨씬 뚜렷하게 드러나게 되고, 가난한 사람과 부자의 격차는 점점 벌어지게 될 것이다. 다큐의 마지막 장면은 부촌과 밀집촌이 작은 숲을 가운데 두고 자리한 모습이 나온다. 마치 드론을 띄워 높은 상공에서 내려다보기 전까진 부자와 가난한 자의 격차를 알 수 없다는 이치를 깨우치려는 듯이… 공정한 나눔의 미덕이 더욱 절실한 시대이다.

 

 

 

<저작권자(c) Budongsancanada.com 부동산캐나다 한인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