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
ON
추천업소
추천업소 선택:
추천업소 그룹 리스트
  • 식품ㆍ음식점ㆍ쇼핑1
  • 부동산ㆍ건축ㆍ생활2
  • 미용ㆍ건강ㆍ의료3
  • 자동차ㆍ수리ㆍ운송4
  • 관광ㆍ하숙ㆍ스포츠5
  • 이민ㆍ유학ㆍ학교6
  • 금융ㆍ보험ㆍ모기지7
  • 컴퓨터ㆍ인터넷ㆍ전화8
  • 오락ㆍ유흥ㆍPC방9
  • 법률ㆍ회계ㆍ번역10
  • 꽃ㆍ결혼ㆍ사진11
  • 예술ㆍ광고ㆍ인쇄12
  • 도매ㆍ무역ㆍ장비13
  • 종교ㆍ언론ㆍ단체14
leesunggi
미시사가 거주
TD Bank 전산직 근무
블로그 ( 오늘 방문자 수: 18 전체: 72,236 )
기생충(1)
leesunggi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에서 빈자와 부자의 갈등을 보면서 결론은 '억울하면 출세하라’ 돈을 모아서 가난을 모면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하나의 현실을 보면서도 사람들은 다른 시각에서 바라본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아파트 현관을 나와서 쇼핑몰로 들어가는데 현관에서 문 청소를 하는 아줌마를 보고, 초등학교 다니는 자기 딸에게 말한다.


 '너도 공부 열심히 해, 안 그러면 저렇게 된다' 


석가모니는 왕의 명령을 어기고 성밖에 나가서 사람들이 살아가는 모습을 보았다. 이제 막 태어난 아이, 병에 걸려서 고통 받는 사람, 나이 먹어서 어깨가 구부정한 노인, 그리고 장례식을 보면서 충격에 빠졌다.


 그는 '역시 백성들의 삶은 지저분하고 고통스러워, 나는 성안에서 지내야 해'라는 결론을 얻은 것이 아니다. 반대로 전혀 엉뚱한 방향으로 나갔다. '인간은 왜 생로병사를 겪어야 하는가?' 그는 가난하고, 병에 걸리고 늙어가는 사람들을 보면서 그것이 그들 자신의 문제가 아니라 세상 공통의 문제라고 받아들였고, 자신은 그 세상의 일부였다.


기생충에 나오는 기택(송강호) 가족은 학교 다닐 때 공부를 못해서, 천성이 게을러서 가난을 겪고 있고, 박사장(이선균)은 근면 성실한데다가 공부도 잘해서 사장으로 살아간다고 생각하고, 가난한 가족이 부잣집에 속이고 들어와서 빌붙어서 냉장고 음식을 꺼내먹고 거짓말하다가 도련님 생일잔치에 과도 들고 난리 치는 추악한 모습을 드러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렇다면 결론은 기승전, 역시 사람은 돈이 있고 봐야 해, 그래야 인간답게 자존심을 유지하면서 살 수 있게 된다. 이 영화를 보고 난 많은 사람들이 여기까지만 생각하고 추잡한 영화의 결론을 끌끌 거리면서 귀가할 수 있다.


세상은 언제나 그렇듯이 받아들이고 싶지 않은 것, 보고 싶지 않은 것은 존재하지 않거나 생각자체를 하지 않아버린다. 


15년 전에 남들 앞에서 잘난 척하기를 좋아하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철학 책을 한 권도 제대로 보지 않았으면서 곧잘 도를 깨우친 듯이 말했다. '그래, 철학자들은 결국 한 가지 사실을 추구한 거잖아. 행복하게 살자' 

 

기승전 결론은 같다. 이 영화, 기생충이 잘 만든 영화라는 것은 기승전 '인간답게 살려면 돈을 벌어야 해'에 있지 않다. 많은 생각을 피어 오르게 하는 이 영화에 대하여 하나씩 끄집어 내보겠다.


사람들은 한가지 세계에 살고 있기 때문에 SNS가 가능하다. 기술적으로 보면 모든 컴퓨터장치들은 하나의 IP 주소를 가지고 연결된다. 그러나 인식의 세계로 오면 세계는 복수가 된다. 


고시원에서 삼수를 하면서 지내다가 서울대 들어간 사람은 합격된 그 순간부터 서울대라는 세계 속에서 살아가게 된다. 고시원에서 여전히 지내는 사람들과는 다른 세계가 된다. 


지방에서 올라온 삐쩍 마른 여자애가 고시원에서 살면서 입시공부를 했다. 당시에 고시원총무를 하던 30세 남자는 그녀와 잠시 썸을 탔다. 자신도 공무원 시험준비를 하던 차였고, 제법 그 세계에 익숙했고, 지방서 올라온 여자애를 지도 편달해주었다. 남자는 그녀가 결국 자기와 같은 길을 가게 될 것이라고 생각하였고, 용돈이 생기면 맥주와 치킨을 사다가 나누어 먹기도 했다. 


그러나 서울대 법대에 합격한 그녀는 거처를 학교근처로 옮겼고, 둘의 만남은 자연스럽게 정리되었다. 4학년 때 그녀는 사법시험에 합격하고 졸업해 연수원에 들어가고, 다시 몇 년 뒤에 검사가 되었다. 


그녀의 30세에 만나는 사람들은 사법부 사람들이었다. 그렇다면 30세 남자가 살았던 고시원의 세계는 있는가? 남자는 이제 마흔이 되었고, 계속 낙방하던 공무원 시험을 포기하고 개인사업을 시작했지만 번번히 실패하고 반지하에서 살고 있다. 


물론 그 사이에 결혼도 해서 아이가 둘이나 된다. 10년 전 두 남녀는 같은 세계에 살았다. 그 후, 너무 벌어져서 전혀 다른 세계에서 살아가고 있다. 그 안에서 만나는 사람도 다르고 하는 일도 다르고 다른 법칙이 작동한다.


물리적으로는 같은 시간 공간 대에 있지만, 전혀 다른 두 세계가 병행해서 존재한다. 이것을 사회학적 평행이론이라고 이름을 붙이자. 


10년의 세월이 다시 흘렀다. 영화 장면에 10 year later라고 자막이 나온다. 여자는 40세, 남자는 50세가 되었다. 남자는 여자를 만나고 싶었다. 그래서 찾아가서 손을 내밀까? 자신이 없었다.


 소심한 선택을 한다. 이메일을 보냈다. 하지만, 답장은 없다. 그녀는 결혼을 했으며 이제 국회의원이다. 너무도 멀어진 두 세계는 다시 만날 수 없다.


영화는 이 두 세계가 겹쳐진다면 무슨 일이 벌어질까를 상상하면서 만들어졌다고 나는 추측한다. 두 세계는 합리적으로 조립될 수 있을까? 가능하다. 취업을 하면 된다. 가난한 사람이 부자들이 사는 세상에 운전기사, 가정부, 청소부, 정원사 등으로 취업하면 된다. 


정원에 심겨진 나무에 사는 다람쥐의 눈에는 사람들이 보인다. 그 사람이 부자인지 가난한지는 알 수 없지만 같은 공간에서 사는 것을 알 수 있다. 궁전에서 귀족과 신하가 같이 살아가는 것과 같다. (다음 호에 계속)

 

 

<저작권자(c) Budongsancanada.com 부동산캐나다 한인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